맨위로가기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1993년 대한민국 최초로 VVVF 제어와 유도 전동기를 채택하여 도입된 전동차이다. 1세대(1993~1996년), 2세대(1999년), 3세대(2019~2020년), 4세대(2021~2024년)로 구분되며, 10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수인·분당선에서 운행 중이며,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불연 내장재 교체, 도색 변경, 전장품 변경 등의 개조를 거쳤다. 2024년 6월 현재 341x26 편성부터 341x30 편성 및 341x31 편성부터 341x60 편성까지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선
    안산선은 금정역과 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및 수인·분당선과 직결 운행한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0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노후화된 무궁화호 대체 및 경량화, 제작비용 절감을 위해 히타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된 140km/h급 준고속 전기 동차로, 현재 28량이 강릉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여러 노선에서 운행 중이며 일부는 관광열차로 개조되었다.
  •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는 2013년부터 ITX-새마을 특급열차로 운행을 시작한 한국철도공사의 간선 전기 동차이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경부선, 호남선 등에서 운행한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현대로템의 철도 차량 - KTX-산천
    KTX-산천은 대한민국 고속철도 기술 자립을 위해 HSR-350x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10량 편성, 알루미늄 차체, 1,100kW급 유도전동기, 개선된 제동 장치, ATP/ERTMS 시스템 등을 갖추고 최고 시속 305km로 운행하며, 좌석 간 거리 확대 및 회전 좌석 등 승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국산화율을 87%까지 높인 고속열차이다.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3세대 전동차 341-36
제조업체현대 로템 (과거 대우중공업, 현대정공, 한진중공업, KOROS)
제작 연도1세대: 1993–1994, 1996
2세대: 1999
3세대: 2019, 2021-2022, 2024
운행 시작1993–현재
개조2003–2005 (1세대 및 2세대 전동차)
총 제작 수량300량
차량 수1세대: 250량
2세대: 50량
3세대: 300량
운행 중인 차량 수1세대: 0량
2세대: 50량
3세대: 240량
폐차된 차량 수250량 (1세대 전동차)
편성10량 (Tc-M-M'-T-M-T'-T-M-M'-Tc)
운행 노선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임시, 341-55 편성만 해당)
차량 길이19.6 m
차량 폭3.12 m
차량 높이3.8 m
차체강철
출입문양쪽 4개, 차량당 8개
최대 속도110 km/h (ATS 하에서)
110 km/h (ATC 하에서)
가속도3.0 km/h/s
감속도3.5 km/h/s (상용)
4.5 km/h/s (비상)
총 출력4400 kW
전력 시스템25 kV 60 Hz AC / 1.5 kV DC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제동 장치회생 제동
안전 장치ATS, ATC
연결기시바타식
궤간1,435 mm
운행 정보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
소속시흥 차량사업소
기술 사양
주전동기농형 3상 유도 전동기
전동기 출력200 kW (연속 정격), 230 kW (1시간 정격)
편성 출력4,400 kW (연속 정격 기준), 4,600 kW (1시간 정격 기준)
구동 방식WN 드라이브
기어비14:99 = 1:7.07 (1세대부터 3세대 차량)
제어 방식VVVF 인버터 제어 (GTO 소자, IGBT 소자, IPM 소자)
제동 방식회생 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 제동
차량 제원
편성 정원10량 편성: 1,576명
차량 정원선두차: 148명 (좌석 48석), 중간차: 160명 (좌석 54석)
차량 무게Tc: 33.0톤, M1: 38.0톤, M2: 42.0톤, T1: 32.0톤, T2: 27.5톤

2. 사양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VVVF 제어와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전동차이다.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보다 출력을 높여 MT비를 줄이고 회생제동으로 에너지 절약 및 검수 소요 감소를 도모한다. 도시바 제품을 사용하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341-01~341-05, 341-08, 341-18~341-23, 341-25, 341-26편성은 IGBT 소자와 히트 파이프를 통한 수동 냉각 방식을 사용하며, 나머지는 도시바의 GTO 기반 VVVF 제어 방식과 능동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차체는 STS304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였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으로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도모한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한다.

객실은 아이보리색 계통의 모켓 롱시트로 구성되었고, 천장에는 LED 방식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되었다. 냉방은 기존보다 냉방 출력을 강화한 준집중형식이다. 34101~34130편성은 LED 전광판, 강제냉각기, 더블암 팬터그래프로 절연 구간 통과 시 객실 일부 조명과 강제식 냉난방, 에어컨 송풍기, LED 전광판이 잠시 꺼지지만, 34131~34160편성은 절연 구간에서도 객실 조명, 자연식 냉난방, 에어컨 송풍기, LCD TV 전광판이 꺼지지 않는다.

좌석은 20m 차량으로 출입문 사이 7인용, 차량 끝 부분 3인용이다. 차량 중앙 천장에는 2단 LED식 여객 안내 표시기가 1기 설치되었다. 차량 간 출입문과 출입문 차임벨은 각각 자동문, 한국제로 개조되었다.

34101~34130편성은 투핸들, 34131~34160편성은 원핸들 형태 제어대와 계기판, TGIS 모니터 등으로 구성된다. ATS, ATC 속도계 모니터가 장착되었다. TGIS는 Train General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 열차 정보 전달 시스템이다. 1993년 차량 도입 시 일본 도시바 제품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우진산전에서 국산화한 제품을 사용하며, 기능과 성능이 강화되었다.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한국어는 10량 편성으로, 각 칸에 다양한 장비가 설치된다.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3410XX (20XX)Tc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11XX (22XX)M (주변환장치)
3412XX (23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3XX (28XX)T (무동력객차)
3414XX (25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5XX (24XX)T1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16XX (29XX)T (무동력객차)
3417XX (26XX)M (주변환장치)
3418XX (27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9XX (21XX)Tc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Tc칸: 제어실,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M칸: 전동기, 주변환장치
  • M'칸: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전동기
  • T칸: 무동력 객차
  • T1칸: 제어실 없음,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2024년 6월 현재 4호선 운행 편성은 341x26~341x60 편성이다.

호차12345678910구 차량 번호차량 형태애칭
3410263411263412263413263414263415263416263417263418263419262x773차분통그리 (2세대)
3410273411273412273413273414273415273416273417273418273419272x78
3410283411283412283413283414283415283416283417283418283419282x79
3410293411293412293413293414293415293416293417293418293419292x80
3410303411303412303413303414303415303416303417303418303419302x81
3410313411313412313413313414313415313416313417313418313419314/5/6차분추두이 (4세대)
341032341132341232341332341432341532341632341732341832341932
341033341133341233341333341433341533341633341733341833341933
341034341134341234341334341434341534341634341734341834341934
341035341135341235341335341435341535341635341735341835341935
341036341136341236341336341436341536341636341736341836341936
341037341137341237341337341437341537341637341737341837341937
341038341138341238341338341438341538341638341738341838341938
341039341139341239341339341439341539341639341739341839341939
341040341140341240341340341440341540341640341740341840341940
341041341141341241341341341441341541341641341741341841341941
341042341142341242341342341442341542341642341742341842341942
341043341143341243341343341443341543341643341743341843341943
341044341144341244341344341444341544341644341744341844341944
341045341145341245341345341445341545341645341745341845341945
341046341146341246341346341446341546341646341746341846341946
341047341147341247341347341447341547341647341747341847341947
341048341148341248341348341448341548341648341748341848341948
341049341149341249341349341449341549341649341749341849341949
341050341150341250341350341450341550341650341750341850341950
341051341151341251341351341451341551341651341751341851341951
341052341152341252341352341452341552341652341752341852341952
341053341153341253341353341453341553341653341753341853341953
341054341154341254341354341454341554341654341754341854341954
341055341155341255341355341455341555341655341755341855341955
341056341156341256341356341456341556341656341756341856341956
341057341157341257341357341457341557341657341757341857341957
341058341158341258341358341458341558341658341758341858341958
341059341159341259341359341459341559341659341759341859341959
341060341160341260341360341460341560341660341760341860341960



차량 번호123456구 차량 번호차량 형태호칭
3510613511613512613513613514613519615차분신통근이 (3세대)
351062351162351262351362351462351962
351063351163351263351363351463351963
351064351164351264351364351464351964
351065351165351265351365351465351965
351066351166351266351366351466351966
351067351167351267351367351467351967
351068351168351268351368351468351968
3510693511693512693513693514693519697차분
351070351170351270351370351470351970
351071351171351271351371351471351971
351072351172351272351372351472351972
3510733511733512733513733514733519738차분
351074351174351274351374351474351974
351075351175351275351375351475351975
351076351176351276351376351476351976
351077351177351277351377351477351977
351078351178351278351378351478351978
3510793511793512793513793514793519799/10차분추둥이 (4세대)
351080351180351280351380351480351980
351081351181351281351381351481351981
351082351182351282351382351482351982
351083351183351283351383351483351983




2. 1. 대한민국 최초로 도입된 VVVF제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VVVF 제어와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전동차이다. 첫 반입분인 2030-2130편성(현 34101편성)은 1993년 6월말에 제작되어 시운전에 들어갔고, 같은 해 11월에 시운전을 마치고 본선 운행을 시작했다.[9] 이는 1993년 9월에 처음 제작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첫 반입분 451편성보다 약간 앞선 시기이다.[10][11][12]

2. 2. 제어기기

1개의 제어장치가 4개의 전동기를 제어하는 1C4M 방식을 채택하였다. 특히 기존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에 비하여 출력을 높여 MT비를 줄임과 동시에 회생제동 능력을 갖추어 에너지 절약 및 검수 소요 감소를 도모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도시바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후 우진산전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다만 VVVF 인버터의 경우 자연냉각식이 아니라 당시 신칸센 300계 전동차신칸센 500계 전동차에서 사용한 자동 강제냉각식을 사용하였다.

341-01~341-05, 341-08, 341-18~341-23, 341-25, 341-26편성은 IGBT 소자와 히트 파이프를 통한 수동 냉각 방식을 사용하며, 나머지 모든 열차는 도시바의 GTO 기반 VVVF 제어 방식과 능동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 341000호대 전동차의 출력은 1000호대 전동차보다 높다. 그 결과, 이 열차는 기존의 한국철도공사(구 서울 지하철) 전동차의 6량 동력차와는 달리 5량의 동력차만 사용한다. 또한, 이 열차는 회생 제동 장치를 갖추고 있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열차 검사를 간소화한다.

2. 3. 차체 및 대차

차체는 STS304를 사용한 스테인리스 용접 방식의 무도장 차체를 사용하였으며, 대차는 원추형 고무스프링을 사용한 에어스프링 볼스터리스 방식을 채택해 승차감 향상과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제동장치는 응답성이 빠르고 전기제동과의 조화가 양호한 전기지령식 제동을 사용하고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에 주황색과 갈색의 가는 띠가 둘러져 있었다. 2006년 1월경까지 공사화에 따라 항구적인 신도색이 실시되었다. 분당선은 노란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로 하였고, 안산·과천선은 운행 노선인 서울교통공사 4호선의 노선색인 하늘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로 배치하였다. 동시에 차내의 불연화 개조·차량 번호 스티커 부착·행선지 방향 표시기의 LED화가 이루어졌다.

2. 4. 실내 설비

도입 초기에는 아이보리색 계통의 실내 구성과 일반적인 모켓 롱시트로 이루어져 있었고, 객실 천장에는 LED 방식의 승객 안내 장치가 설치되었다. 냉방은 기존 차량보다 냉방 출력을 강화한 준집중형식으로 제작되었다.

34101~34130편성은 LED 전광판, 강제냉각기, 더블암 팬터그래프로 절연 구간을 통과할 때 객실 일부 조명이 소등되고 전기 차단으로 인해 강제식 냉난방, 에어컨 송풍기, LED 전광판까지 전부 자동으로 잠시 꺼지지만, 34131~34160편성은 절연 구간을 통과할 때도 객실 조명과 자연식 냉난방, 에어컨 송풍기나 환풍기, LCD TV 전광판까지 전부 꺼지지 않고 그대로 정상 가동된다. 현재 1호선과 경강선, 동해선에서 운행 중인 4세대 전동차들과 전체적인 성능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4세대 전동차 중 1호선 차량들은 절연 구간을 지날 때 객실 조명과 냉난방기, 전광판 등이 꺼지지 않는다. 단, 이 열차는 전조등 및 형광등은 켜져 있다고 한다.

341000호대 전동차는 전면 개조 전까지 상아색 내부를 사용했다. 현재 모든 열차는 흰색 내부를 사용한다. 각 객차 상단에는 LED 표시 모니터가 설치되어 있다. 양쪽 끝 객차에는 휠체어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차체는 스테인리스에 주황색과 갈색의 가는 띠가 둘러져 있었다. 공사화에 따라 2006년 1월경까지 항구적인 신도색(분당선은 노란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 안산·과천선은 운행 노선인 서울교통공사 4호선의 노선색인 하늘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로 배치)이 실시되었고, 동시에 차내의 불연화 개조, 차량 번호 스티커 부착, 행선지 방향 표시기의 LED화가 이루어졌다.

좌석은 20m 차량이기 때문에 출입문 사이에는 7인용, 차량 끝 부분에는 3인용으로 되어 있다. 차량 중앙 부근 천장에는 2단 LED식 여객 안내 표시기가 1기 설치되어 있다. 차량 간 출입문은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출입문 차임벨은 일본제에서 한국제로 개조되었다.

2. 5. 승무 설비

34101~34130편성은 투핸들, 34131~34160편성은 원핸들 형태의 제어대와 계기판, TGIS 모니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ATSATC 속도계 모니터가 장착되어 있다.

2. 5. 1. TGIS

TGIS는 Train General Information System의 약자로서 열차의 기본적 정보를 승무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제어차에 장비된 중앙장치와 각 차량에 장비된 단말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말기를 루프식으로 구성된다. 각 단말기간의 통신은 RS-485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단말장치는 각 차량의 전기기기, 서비스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중앙 장치에서 통합 후 모니터를 통하여 승무원(기관사, 차장)에게 전달한다. TGI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무원 지원 기능: 각종 기기 상태, 운행상태, 정차역 통보기능
  • 주 제어 기기 및 각종 고압전기기의 상태현시 및 고장기록
  • 서비스 기기(안내방송, 공조장치, 행선/열번 표시기 등)제어기능
  • 검수 지원 기능: 운행/고장기록, 입/출고 점검 및 응급고장처치 안내기능


1993년 차량 도입 시에는 일본 도시바에서 제작한 완제품을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우진산전에서 국산화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제품보다 기능과 성능이 한층 더 강화된 제품이다.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TGIS를 탑재하여 컬러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2005년 개조 이후 TGIS를 통해 서비스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절연구간 알림 장치도 설치되어 있다.

2. 6. 편성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한국어는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각 칸에는 다양한 장비들이 설치되어 있다. 편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3410XX (20XX)Tc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11XX (22XX)M (주변환장치)
3412XX (23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3XX (28XX)T (무동력객차)
3414XX (25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5XX (24XX)T1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416XX (29XX)T (무동력객차)
3417XX (26XX)M (주변환장치)
3418XX (27XX)M'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419XX (21XX)Tc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 Tc칸은 제어실을 갖추고 있으며,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등이 설치되어 있다.
  • M칸은 전동기가 탑재되어 있으며, 주변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 M'칸은 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전동기가 탑재되어 있다.
  • T칸은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은 무동력 객차이다.
  • T1칸에는 제어실은 없지만, 보조전원장치(SIV), 공기압축기, 축전지가 탑재되어 있다.


2024년 6월 현재 4호선에서 운행 중인 편성은 341x26 편성부터 341x60 편성까지이다. 이전에는 341x01 편성부터 341x25 편성까지 운행했지만, 4/5차 차량 도입으로 인해 퇴역 및 폐차되었다.

호차12345678910구 차량 번호차량 형태애칭
3410263411263412263413263414263415263416263417263418263419262x773차분통그리 (2세대)
3410273411273412273413273414273415273416273417273418273419272x78
3410283411283412283413283414283415283416283417283418283419282x79
3410293411293412293413293414293415293416293417293418293419292x80
3410303411303412303413303414303415303416303417303418303419302x81
3410313411313412313413313414313415313416313417313418313419314/5/6차분추두이 (4세대)
341032341132341232341332341432341532341632341732341832341932
341033341133341233341333341433341533341633341733341833341933
341034341134341234341334341434341534341634341734341834341934
341035341135341235341335341435341535341635341735341835341935
341036341136341236341336341436341536341636341736341836341936
341037341137341237341337341437341537341637341737341837341937
341038341138341238341338341438341538341638341738341838341938
341039341139341239341339341439341539341639341739341839341939
341040341140341240341340341440341540341640341740341840341940
341041341141341241341341341441341541341641341741341841341941
341042341142341242341342341442341542341642341742341842341942
341043341143341243341343341443341543341643341743341843341943
341044341144341244341344341444341544341644341744341844341944
341045341145341245341345341445341545341645341745341845341945
341046341146341246341346341446341546341646341746341846341946
341047341147341247341347341447341547341647341747341847341947
341048341148341248341348341448341548341648341748341848341948
341049341149341249341349341449341549341649341749341849341949
341050341150341250341350341450341550341650341750341850341950
341051341151341251341351341451341551341651341751341851341951
341052341152341252341352341452341552341652341752341852341952
341053341153341253341353341453341553341653341753341853341953
341054341154341254341354341454341554341654341754341854341954
341055341155341255341355341455341555341655341755341855341955
341056341156341256341356341456341556341656341756341856341956
341057341157341257341357341457341557341657341757341857341957
341058341158341258341358341458341558341658341758341858341958
341059341159341259341359341459341559341659341759341859341959
341060341160341260341360341460341560341660341760341860341960



차량 번호123456구 차량 번호차량 형태호칭
3510613511613512613513613514613519615차분신통근이 (3세대)
351062351162351262351362351462351962
351063351163351263351363351463351963
351064351164351264351364351464351964
351065351165351265351365351465351965
351066351166351266351366351466351966
351067351167351267351367351467351967
351068351168351268351368351468351968
3510693511693512693513693514693519697차분
351070351170351270351370351470351970
351071351171351271351371351471351971
351072351172351272351372351472351972
3510733511733512733513733514733519738차분
351074351174351274351374351474351974
351075351175351275351375351475351975
351076351176351276351376351476351976
351077351177351277351377351477351977
351078351178351278351378351478351978
3510793511793512793513793514793519799/10차분추둥이 (4세대)
351080351180351280351380351480351980
351081351181351281351381351481351981
351082351182351282351382351482351982
351083351183351283351383351483351983




3. 배속

편성배속량수
34131~34160편성시흥차량기지10량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는 4호선 오이도역을 지나 위치한 시흥차량사업소에 입고된다.

4. 현재 운행 구간

5. 도입 역사

1993년 과천선 개통 및 서울 지하철 4호선과의 직결 운행에 대비하여 1세대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초기에는 차량번호가 2030호대로 부여되었는데, 이는 당시 2000호대 디젤 기관차가 아직 퇴역하기 전이었고, 다른 차번(4000호대, 5000호대, 6000호대)은 차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이다. 2011년경 341000호대로 개번되었으며, 3세대부터는 341000호대로 도입되었다.[2]

1세대 전동차는 일본 기술 협력을 통해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을 채택했으며, 신칸센 300계 전동차와 유사한 제어 장치를 사용했다. 초기 제조 편성은 도시바제, 나머지는 우진산전제였다. 주 전동기는 미쓰비시 설계의 TMK010C형을 사용했고,[3] 대차는 원추 적층 고무식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4]

1994년 분당선 개통에 맞춰 6량 편성의 교류형 전동차가 투입되었으며, 원맨 운전에 대응하도록 제조되었다.

2011년 4월부터 4호선 소속 차량은 341000호대, 분당선 소속 차량은 351000호대로 개번이 진행되었으며, 2012년 4월에 완료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4호선 소속 341000호대 10량 편성 30개(300량), 수인·분당선 소속 351000호대 6량 편성 61개(366량)가 운행 중이다. 4호선 소속 차량과 구 수인선 소속 차량은 시흥차량사업소에, 구 분당선 소속 차량은 분당차량사업소에 배치되어 있다.

341000호대 4, 5차차 편성은 제작 당시 싱글 암식 팬터그래프를 사용했으나, 서울교통공사 4호선 구간의 강체 가선으로 인해 아크 현상이 발생하여 하부 교차식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6차차는 제작 초기부터 하부 교차식 팬터그래프를 사용했다.

5. 1. 1세대 (1993~1996년)

1993년부터 1996년까지 1세대 전동차가 도입되었다. 1994년 과천선 개통에 대비하여 한진중공업(34101~34104편성), 대우중공업(34105~34117편성, 34118편성의 일부 차량), 현대정공(34118편성의 일부 차량, 34119~34122편성)에서 제작하였다. 도입 당시에는 6량 편성이었으나, 1995년에 대우중공업에서 제작한 중간 객차 4량을 추가하여 10량 편성이 되었다.[1]

1997년에는 과천선-안산선 증차를 위해 대우중공업에서 34123~34125편성을 추가로 도입하였다. 이 편성들은 처음부터 10량 편성으로 도입되었다.[1]

1세대 전동차는 초기에는 빨간색과 주황색 줄무늬 도색을 사용했으나, 리모델링 이후 새로운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앞면이 평평하여 "납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1]

차량 번호는 341-01~341-25번으로, 기존 2-30~2-46, 2-49, 2-51~2-54, 2-70~2-72번에서 재편성되었다. 341-01~341-22번 전동차는 1993년부터 1994년까지, 341-23~341-25번 전동차는 1996년에 제작되었다.[1]

2023년 12월까지 모든 1세대 전동차는 3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으나, 341-02편성은 2018년에 조기 퇴역하였고, 341-23편성은 상계역 사고로 2020년 6월 11일에 퇴역했다.[1]

341000호대(1세대) 341-24호 전동차 (구 2030호대 2-71)

5. 2. 2세대 (1999년)

1999년 6월부터 8월까지 한국철도차량(KOROS, 현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어, 2000년 7월 28일 안산선 오이도역 연장 개통에 투입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2세대 차량은 '동글이', '동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311000호대 1세대를 기반으로 제작되어 창문이 좁고 상부 개폐형이며, 안내기가 2개로 늘어난 점이 특징이다. 도입 당시부터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5]

341000호대(2차분) 341-26편성 (구 2030호대 2-77편성)


전두부가 FRP 소재의 유선형으로 변경되었고,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표식이 출입문 등에 부착되었다. 초기에는 1세대 차량과 유사한 도색을 사용했으나, 개조를 거쳐 새로운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341-26~341-30편성(구 2-77~2-81편성)이 이에 해당하며, 2025년에 3세대 차량(341-56~341-60편성)으로 교체될 예정이다.[5]

5. 3. 3세대 (2019~2020년)

34136편성


초창기에 도입된 1세대 전동차의 노후 차량 일부를 교체하기 위해 제작된 차량이다. 출입문 모양은 1세대 차량에 사용되었던 부식무늬가 적용되었다. 이 차량부터는 현대로템의 자사 IPM 모듈이 최초로 국산화되었다. 미쓰비시 IGBT 소자에 현대로템 IPM이 추가되었으나, 넓어진 통로문으로 스크린도어 센서 문제가 발생했다.[13] 또한 집전장치 설계 결함으로 인해 개량 작업 중 한동안 시운전이 중단/지연되었다.

341000호대 전동차의 3세대 차량은 노후화된 1세대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2018년부터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 이 열차는 추진 시스템 및 객실 차량 디자인에 약간의 변화를 주었다.

현재 341-31~341-37번의 7개 편성 차량이 인도되어 운행 중이며, 341-35편성과 341-37편성을 제외한 모든 열차는 1호선에 임시 투입되어 노후된 3세대 1000호대 및 1세대 311000호대 열차를 대체하고 있다. 이는 1호선에 신형 열차가 투입될 때까지 임시로 운행된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341-38~341-55번으로 임시 번호가 부여된 18개 편성의 차량이 추가로 인도되었다. 2024년까지 341-41, 341-44~341-45, 341-48~341-55편성은 1세대 311000호대 열차의 조기 폐차로 인해 1호선에서 임시 운행되었다. 이들 차량은 노후된 1세대 34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며, 변경된 도색과 실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5. 4. 4세대 (2021~2024년)

초창기에 도입된 1세대 전동차의 노후 차량 교체용으로 제작되었다. 제작 당시부터 기존의 문제점들이 대폭 개선되고 신도색이 적용되었으며, 의자 또한 플라스틱으로 교체되었고, 6개로 줄었다.[5]

신도색이 적용된 34138편성


2021년부터 2022년까지 341-38~341-55번으로 임시 번호가 부여된 18개 편성의 차량이 추가로 인도되었다. 이들 차량은 노후된 1세대 34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며, 변경된 도색과 실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24년까지 341-41, 341-44~341-45, 341-48~341-55편성은 1세대 311000호대 열차의 조기 폐차로 인해 1호선에서 임시 운행되었다.[5]

노후된 3차분 34126~34130편성 교체용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유선형 전동차 대차분이다.

6. 개조 역사

2003년부터 2005년까지(2002년에 소규모 개조 시작) 1세대 및 2세대 전동차에 대한 대규모 개조가 이루어졌다.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도색 변경: 2006년 5월부터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교체되었다. 4호선 차량은 하늘색과 군청색, 분당선 차량은 노란색과 군청색이 적용되었다.
  • 전장품 변경:
  • 1993년 차량 도입 당시 일본 도시바에서 제작한 TGIS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우진산전에서 국산화한 제품을 사용한다.
  • 2003년부터 4호선 일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IGBT 2레벨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모든 차량의 SIV(정지형 인버터)가 우진산전 IGBT 제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부터 우진산전에서 TGIS 장비를 개량하여 안내방송, 냉방, 행선 표시등 서비스 기기 제어 기능이 추가되었다.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수도권 전철 4호선 차량 객실 간 통로문이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 2008년부터 전 차량의 음성 방송장치가 ROM 방식에서 MP3 방식으로 개조되었고, 2014년에는 차내 스피커가 교체되었다.
  • 2016년부터 코레일 소속 4호선 일부 차량의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
  • 내장재 교체: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전 차량은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재로 교체되었다.
  •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 집전장치 개조: 4~5차 도입분은 고속 주행에 적합한 싱글암이 적용되었으나, 서울교통공사 강체가선 구간에서 아크 현상이 발생하여 더블암으로 교체되었다.

6. 1. 도색 변경

2005년까지 주황색-빨간색 도색을 공통으로 사용하였으나, 2006년 5월부터 불연 내장재 개조와 함께 한국철도공사 도색으로 교체되었다. 4호선 차량은 하늘색과 군청색, 분당선 차량은 노란색과 군청색이 적용되었다. 34131~34134편성은 4호선 차량과 동일한 하늘색과 군청색이 적용됐으나, 기존 4호선 도색과 동일하게 하늘색과 군청색으로 재도색되었다.[1]

모든 열차는 빨간색과 주황색 줄무늬로 구성된 구형 한국철도공사 도색을 사용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이 열차들은 현재의 파란색과 청록색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새로운 도색은 태극의 은유를 담고 있지만, 너무 조잡해 보인다는 비판을 받았다. 도색은 전면과 출입문에만 적용되었다.[2]

차체는 스테인리스에 주황색과 갈색의 가는 띠가 둘러져 있었다. 2006년 1월경까지 항구적인 신도색(분당선은 노란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 안산·과천선은 운행 노선인 서울교통공사 4호선의 노선색인 하늘색을 문 상부에, 남색을 문 하부에 각각 배치, 전면부의 배색은 그 반대로 배치)이 실시되었고, 동시에 차내의 불연화 개조·차량 번호 스티커 부착·행선지 방향 표시기의 LED화가 이루어졌다.[3]

6. 2. 전장품 변경

1993년 차량 도입 당시에는 일본 도시바에서 제작한 완제품 TGIS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는 대한민국 우진산전에서 국산화한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존 제품보다 기능과 성능이 한층 더 강화된 것이다. TGIS는 열차의 기본 정보를 승무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제어차의 중앙장치와 각 차량의 단말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말기는 RS-485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차량의 전기기기 및 서비스 기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중앙장치에 전달하여 승무원이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TGIS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승무원 지원 기능: 기기 상태, 운행 상태, 정차역 안내
  • 주 제어 기기 및 고압 전기기 상태 표시 및 고장 기록
  • 서비스 기기(안내방송, 냉방, 행선/열번 표시기 등) 제어
  • 검수 지원 기능: 운행/고장 기록, 입/출고 점검 및 응급조치 안내


2002년 34101~34125편성에 코모넷 차내 방송 시스템이 설치되었으나, 이후 제거되었다. 2003년부터 4호선 일부 차량의 주변환장치가 IGBT 2레벨 인버터로 교체되었으며, 34131~34160편성은 IGBT가 탑재된 채로 도입되었다.

2004년 6월부터 2005년까지 모든 차량의 SIV(정지형 인버터)가 우진산전 IGBT 제품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답면제동장치 소음 개선 사업도 시작되어 현재 진행 중이다.

2005년부터는 도시바에서 제작한 TGIS 장비가 우진산전의 장비로 개량되어 안내방송, 냉방, 행선 표시등 서비스 기기 제어 기능이 추가되었다. (전 차량)

2007년부터 일부 편성에서 전광판의 서체와 동작표출 방식이 변경되어 운용되고 있다.

2008년 7월부터 2012년 2월까지 4호선의 차량 객실간 통로문이 자동문으로 개조되었다. 다만, 34131~34160편성은 통로문이 제거된 채로 도입되었다.

2008년 말부터 일부 전동차를 시작으로 전 차량에 대해 음성 방송장치가 기존의 ROM 방식에서 MP3 방식으로 개조되었고, 2014년 11월에는 차내 스피커가 교체되어 신형 전동차와 동일한 수준의 음질을 제공하게 되었다.[14]

2016년 말부터 코레일 소속 4호선 일부 차량의 전조등이 백열등에서 LED로 교체되었다.(34101, 34104~34114, 34116~34117, 34119~34125편성) 향후 점진적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34131~34160편성은 전조등이 LED로 기본 장착되어 도입되었다.

6. 2. 1. 주변환장치 교체 현황

341000호대 전동차 중 341-01~341-05, 341-08, 341-18~341-23, 341-25, 341-26편성은 IGBT 소자와 히트 파이프를 통한 수동 냉각 방식을 사용하며, 나머지 모든 열차는 도시바의 GTO 기반 VVVF 제어 방식과 능동 냉각 방식을 사용한다.[1] 2003년부터 일부 열차는 GTO 인버터가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으며,[1] 2018년 기준으로 341-01~341-05, 341-08, 341-18~341-23, 341-25, 341-26 편성 열차가 새로운 인버터를 장착했다.[1]

6. 3. 내장재 교체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2004년 6월부터 2005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전 차량은 불연재 기준에 맞춘 내장재로 교체되었다. 이 사업에는 로윈SLS중공업 등이 참여하였다. 34101~34108편성은 로윈(1차), 34109~34120편성도 로윈(2차), 34121~34130편성은 SLS중공업(3차)에서 교체되었다.

이와 함께 보수성이 떨어진 전면, 측면행선표시장치(DI)는 롤지 회전 방식에서 LED 현시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34131~34160편성은 불연 내장재와 LED 행선지가 기본으로 설비되어 도입되었다.[1]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한국철도공사는 승객 안전을 위해 방염 내장재를 도입해야 했다. 그 결과, 2003년부터 2005년까지 모든 열차의 내장재를 방염 사양으로 교체하는 전면 개조를 실시했다.[2]

6. 4. 측면 행선 LED 가동 중단

현재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어 앞칸과 뒷칸을 제외한 모든 안내기가 소등되었다. 다만 3세대 전동차부터는 앞칸과 뒷칸만 측면 안내기가 가동 중이다.

6. 5. 집전장치 개조

4~5차 도입분은 고속 주행에 적합한 싱글암이 적용되었으나 시운전 도중 서울교통공사 강체가선 구간에서 아크 현상이 발생하여 더블암으로 교체되었다.

7. 현황

1993년에 시제차(2x30편성)가 등장했으며, 이는 1994년 과천선 개통과 서울 지하철 4호선과의 직결 운행에 대비한 것이었다. 초기에는 계자 첨가 여자 제어 방식이었으나, 당시 저항 제어 차량의 고장이 잦아 일본 기술 협력을 통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205계와 동일한 비드 부착 스테인리스강 차체를 채용한 교류 직류 전동차로 변경되었다.[2]

VVVF 인버터 제어 장치는 JR 도카이 300계와 거의 동일하며, 파워 유닛은 강제 통풍식 1C4M 방식이다. 초기 제조 편성은 도시바제, 나머지는 우진산전(도시바 기술 제휴)이다. 주 전동기는 미쓰비시 설계의 MB-5052A형을 고속 성능에 대응하도록 개량한 TMK010C형이다.[3] 대차는 205계 등에서 채용된 DT50형, TR235형과 거의 동일한 원추 적층 고무식 볼스터리스 대차이다.[4]

1994년 분당선 개통에 맞춰 6량 편성이 투입되었는데, 이는 원맨 운전에 대응한 교류형 전동차로 제조되었다.

2011년 4월부터 4호선 소속 차량은 341000호대, 분당선 소속 차량은 351000호대로 개번이 진행되었고, 2012년 4월 모든 편성의 개번이 완료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4호선 소속 차량(341000호대)은 10량 편성 30개 300량, 수인·분당선 소속 차량은 6량 편성 61개 366량이 운행 중이다. 4호선 소속 차량과 구 수인선 소속 차량은 시흥차량사업소에, 구 분당선 소속 차량은 분당차량사업소에 배치되어 있다.

7. 1. 1, 2세대분



341000호대 전동차 1세대는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제작되었다. 출고 당시 빨간색과 주황색 줄무늬 도색을 사용했지만, 리모델링 이후 새로운 도색이 적용되었다. 평평한 앞면 때문에 "납작이"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차량 번호는 341-01~341-25이며, 원래 2-30~2-46, 2-49, 2-51~2-54, 2-70~2-72번이었던 전동차들이 재편성되었다.

341-01~341-22번 전동차는 과천선안산선(선바위역부터 안산역까지) 개통에 맞춰 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 현대정공에서 1993년부터 1994년까지 제작되었으며, 원래 6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1995년에는 대우중공업에서 10량 편성으로 증결하기 위한 추가 차량을 제작했다. 341-23~341-25번 전동차는 1996년 대우중공업에서 4호선 운행 차량 확충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각 10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2023년 12월까지 모든 1세대 전동차는 3세대 341000호대 전동차로 완전히 교체되었다. 341-02호 전동차는 다른 전동차에 부품을 제공하기 위해 2018년에 조기 퇴역했으며, 341-23호 전동차는 상계역 추돌사고로 인해 2020년 6월 11일에 퇴역했다.[1]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4101 편성1993년2023년대한민국 최초의 VVVF 전동차다.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02 편성1993년2018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03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04 편성1993년2022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IGBT에서 도시바 GTO로 환원되었다.
34105 편성1993년2023년341005, 341105, 341205, 341905호가 종합훈련장으로 개조되어 시흥차량기지에 보존 중이다.
34106 편성1993년2023년
34107 편성1993년2023년
34108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09 편성1993년2023년
34110 편성1993년2023년
34111 편성1993년2023년
34112 편성1993년2023년
34113 편성1993년2022년
34114 편성1993년2023년341114, 341214, 311463호는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15 편성1993년2023년
34116 편성1993년2023년
34117 편성1993년2023년
34118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19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20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21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22 편성1993년2023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23 편성1996년2020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상계역 추돌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34124 편성1996년2021년
34125 편성1996년2021년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교체되었다.



341000호대 전동차 2세대 차량은 안산선4호선 구간이 안산역에서 오이도역까지 연장되면서 1999년 KOROS(한국철도차량)에서 제작되었다. 운전실 앞부분이 둥근 형태로 바뀌면서 "동글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출고 당시 1세대 차량과 유사한 빨간색과 주황색 줄무늬 도색을 사용했지만, 개조 이후 새로운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해당 차량은 341-26~341-30편성이며, 구 2-77~2-81편성에서 재편성되었다.

2세대 차량은 2025년에 퇴역 예정이며, 341-56~341-60편성으로 새롭게 편성될 3세대 차량으로 대체될 예정이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4126 편성1999년2024년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차량이다. 추진제어장치가 도시바 GTO에서 도시바 IGBT로 바뀌었다.
34127 편성1999년2024년
34128 편성1999년2024년
34129 편성1999년2024년
34130 편성1999년2024년


7. 2. 3, 4세대분

해당 편성들부터 ATS·ATC 자동 전환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34131~34155편성은 도입 당시 싱글암 팬터그래프가 설치되었지만, 서울교통공사 강체가선 구간 아크 현상 문제로 더블암 팬터그래프로 교체되었고, 34156~34160편성은 처음부터 더블암 팬터그래프가 설치되었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34131 편성2019년시운전 중차량 상부에 검측장치가 설치되었다.
34132 편성운행 중
34133 편성운행 중
34134 편성운행 중
34135 편성운행 중
34136 편성운행 중
34137 편성운행 중
34138 편성2021년운행 중해당 편성부터 신도색이 적용되었으며, 배장기가 제거되었다.
34139 편성운행 중
34140 편성운행 중
34141 편성2022년운행 중
34142 편성운행 중
34143 편성운행 중
34144 편성운행 중
34145 편성운행 중
34146 편성운행 중
34147 편성운행 중
34148 편성운행 중
34149 편성운행 중
34150 편성운행 중
34151 편성운행 중
34152 편성운행 중
34153 편성운행 중
34154 편성운행 중
34155 편성운행 중
34156 편성2024년운행 중해당 편성부터 객실 환기용 팬이 추가되었으며, 한국철도공사 문구가 지워졌다.
34157 편성운행 중
34158 편성운행 중
34159 편성운행 중
34160 편성운행 중



341000호대 전동차의 3세대 차량은 노후화된 1세대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2018년부터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1세대 차량은 신뢰성 문제에 시달려왔다. 이 열차는 추진 시스템 및 객실 차량 디자인 변경과 같은 약간의 변화를 보였다.

현재 341-31~341-37번의 7개 편성 차량이 인도되어 운행 중이며, 341-35편성과 341-37편성을 제외한 모든 열차는 1호선에 임시 투입되어 노후된 3세대 1000호대 및 1세대 311000호대 열차를 대체하고 있다. 이는 1호선에 신형 열차가 투입될 때까지 임시로 운행된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341-38~341-55번으로 임시 번호가 부여된 18개 편성의 차량이 추가로 인도되었다. 2024년까지 341-41, 341-44~341-45, 341-48~341-55편성은 1세대 311000호대 열차의 조기 폐차로 인해 1호선에서 임시 운행되었다. 이들 차량은 노후된 1세대 341000호대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편성에는 변경된 도색과 실내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wo Subway Trains Collide at Sanggye Station in Seoul http://tbs.seoul.kr/[...] 2020-06-11
[2] 웹사이트 鉄道車両100年史(韓国語) http://100year.rotec[...] 2024-06-21
[3] 문서 제1세대 차량은 외선식이었지만, 제2세대 차량부터 내선식으로 변경되었다.
[4] 웹사이트 VVVF web: 韓国鉄道341000系 http://vvvf.xsrv.jp/[...] 2024-06-23
[5] 문서 조류도-한대앞 구간은 4호선과 공용 구간이 된다.
[6] 문서 9차량부터는 M차이다.
[7] 문서 연속 정격출력 200 kW, 1시간 정격출력 230 kW
[8] 문서 연속 정격출력으로 계산 시 4,000 kW이며, 1시간 정격출력으로 계산 시 4,600 kW
[9] 문서 해당 차량은 1993년 11월 도입 당시엔 MCK01C형 GTO 인버터였으나, 현재는 COVO52-A0형 IGBT 인버터로 교체되었다.
[10] 뉴스 VVVF 제어 電動車(전동차) 韓進重(한진중) 국내처음 제작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1993-07-28
[11] 뉴스 차세대 전기동차 시범운행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3-07-26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info.korail.c[...] 2013-10-17
[13] 문서 1~2호차 사이에 센서가 있어 이 센서값을 수정해야 했다.
[14] 문서 차내 스피커 교체와 함께 출입문 폐문 시 발차경고음도 추가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